(한국안전방송) '검찰이 20일 '비선 실세 최순실(60)씨와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47) 전 부속비서관 등 핵심 피의자 3명을 일괄 기소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이들과 '공모관계'라고 밝히는 '초강수'를 뒀다. 검찰은 앞서 박 대통령의 범죄 혐의를 특정해 정식 피의자로 입건하는 절차도 밟았다.
검찰은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을 박 대통령이 주도했으며 재정 모금은 안 전 수석이, 사무처 인사는 최씨가 각각 분담한 것으로 파악했다. ‘미르’라는 명칭은 최씨가 작명한 것으로 드러났다. 박 대통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7대그룹 총수와의 비공개 면담에서 모금 협조를 직접 요청했으며, 안 전 수석은 박 대통령 지시에 따라 기업별로 출연금 액수를 분배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중간 수사 결과 발표 ‘최순실 게이트’ 검찰 특별수사본부장인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이 20일 서울중앙지검에서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검찰은 최순실씨,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 3명을 기소하며 박근혜 대통령을 이들의 ‘공범’으로 지목했다.
박 대통령은 정 전 비서관의 청와대 문건 유출에 관여한 혐의도 받고 있다. 정 전 비서관이 빼돌려 최씨 측에 건넨 청와대 문건 180건 중 47건이 국가기밀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 측 유영하 변호사는 “검찰이 박 대통령을 직접 조사하지 않은 채 작성한 공소장은 법률상 무의미하다”며 “검찰 수사의 공정성을 믿을 수 없는 만큼 앞으로 검찰 수사에 일절 응하지 않고 특별검사 수사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서 검찰이 제시한 대면조사 방안을 박 대통령 스스로 거부했다는 점에서 유 변호사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관측이 많다.
한편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4차 주말 촛불집회가 19일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 주최 측 추산 서울 60만명, 지역 35만명 등 95만명(경찰 추산 26만명)이 모였다. 3차 집회 때 서울 도심을 뒤덮었던 ‘100만 촛불’이 전국으로 번진 셈이다.
이번 주말(26일) ‘서울 집중집회’를 앞둔 숨고르기 성격일 것으로 예상됐으나 박 대통령의 수사 회피, 최씨 딸 정유라(20)씨의 이화여대 학사·입시부정 확인으로 분노한 민심이 다시 거리로 쏟아졌다. 26일 5차 주말 촛불집회는 ‘피의자 박 대통령 퇴진’을 압박하는 민심이 절정에 이를 전망이다. 주최 측이 ‘서울 100만 집회’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이를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이다.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검찰 수사 발표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객관적 증거는 무시한 채 상상과 추측을 거듭해서 지은 사상누각일 뿐”이라며 “그간 진행돼온 검찰의 수사가 공정하고 정치적 중립을 지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차라리 헌법상 법률상 대통령의 책임 유무를 명확히 가릴 수 있는 합법적 절차에 따라 하루빨리 이 논란이 매듭지어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