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최재경 사표 보류 아닌 '심사숙고'

  • 등록 2016.11.28 20:44:22
  • 조회수 508
크게보기


(한국안전방송)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김현웅 법무부 장관의 사표는 수리한 반면 함께 사의를 표명한 민정수석의 사표는 보류한 결정을 두고 그 배경에 여론의 관심이 쏠린다. 


박 대통령은 우선 '통제불능'인 검찰에 대한 지휘권이 있는 김 장관의 사표를 수리함으로써 김수남 검찰총장 등 검찰 수뇌부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담았다. 한편으로는 사퇴의 의지가 완강한 김 장관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 수석의 경우 최순실 국정농단에 대한 특검·국정조사를 앞두고 자신의 최측근 참모를 교체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특검과 국정조사를 앞두고 있고 박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도 추진되고 있는 만큼 박 대통령으로선 사정 라인의 두 축을 한꺼번에 비워두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일주일 동안의 장고(長考) 끝에 검찰 조사가 마무리되고 '최순실 특검'을 앞둔 28일을 선택, 이들의 거취를 결정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검찰의 대면조사 최후통첩 시한인 29일을 하루 앞두고 대면조사를 거부했다. 

박 대통령은 민정수석실을 중심으로 다음 주 특검 출범을 앞두고 무산된 검찰조사 보다는 특검 준비에 전념한다는 구상이다. 변호인단 또한 현재 유영하 변호사 1명에서 4∼5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만큼 최 수석의 역할이 중요해 질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법무장관이 책임졌는데 민정수석의 사표가 수리 안 된 것은 그만큼 상황이 엄중하다는 의미"라면서 "최 수석 사표는 보류된게 아니라 (박 대통령이) 심사숙고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최 수석 사표를 '반려'하지 않고 '보류'한 것은 그만큼 최 수석의 사퇴 의지가 강하다는 방증이라는 얘기가 청와대 안팎에서 나온다. 이에 '보류'는 '앞으로 계속 설득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박 대통령은 당초 사표를 반려한다는 뜻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김 장관과 최 수석 모두 사퇴의 뜻이 확고해 설득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최 수석이 사퇴 의지를 접은 게 아니라 박 대통령이 사표를 수리하지 않는 이상 검찰 공직자로서 직무를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임하고 있다는 얘기가 청와대 안팎에서 나온다. 

당초 청와대 참모들은 최 수석이 사표를 제출한 이후에도 청와대에 정상적으로 출근해 일하는 모습을 보고 최 수석이 사의를 어느 정도 접은 것으로 해석했다. 

앞서 한 청와대 참모는 박 대통령이 김 장관을 제쳐놓고 최 수석 사표에 대한 반려를 먼저 결정할 경우 "최 수석 뿐 아니라 김 장관도 큰 부담을 가질 수 있다"면서 청와대로선 김 장관에 대한 압박 보다는 김 장관이 스스로 사의를 철회할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박 대통령이 최 수석 사표에 대해 '반려'가 아닌 '보류'로 결정함으로써 최 수석의 사퇴의지가 예상보다 강하는 해석이 청와대 안팎에선 지배적이다.
홍예경 기자 rosehongyg@naver.com

PC버전으로 보기

본 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3로 135-6 신명타운 2층 201호 전화번호:031-486-7771| 031-411-8123| FAX:031-410-2395 발행인겸대표이사 : 이병걸 | 편집인 : 이병걸 등록번호 : 경기 ,아51039 등록일 :2014년 8월12일 발행일 : 2014년 8월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