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안전방송)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굳게 다문 최씨의 입을 열기 위해 그가 가장 애착을 보이는 두 가지 핵심을 찌르며 압박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국정농단 게이트의 주범 최순실씨(60·구속기소)는 국정농단·인사개입·이권개입·의료법 위반 등 양파껍질처럼 드러나는 각종 혐의 일체를 부인하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특검팀은 친딸 정유라씨(20) 신병확보에 나서는 심리전과 아울러 국내외 은닉재산 수사 등에 속도를 내며 최씨의 목줄을 조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중인 박영수 특별검찰팀이 30일 최순실씨(60·구속기소)의 조카 장시호씨(37·구속기소)와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59)를 소환조사한다.
특검팀은 지난 24일부터 사흘 연속 불러들여 강도높은 조사를 진행했던 김종 전 문체부 차관(55·구속기소)도 재소환,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삼성 합병 특혜' 의혹 수사에서 강행군을 이어간다.
최씨의 조카 장시호씨는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이하 영재센터) 사무총장으로 실무를 총괄하며 최씨 및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55·구속)과 함께 기업들이 영재센터에 약 18억원을 부당하게 내도록 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최씨는 동계스포츠 관련 사업을 빌미로 정부 지원금이나 민간기업의 후원금을 가로챌 목적으로 장씨에게 영재센터를 설립하도록 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장씨가 최씨를 통해 '체육계 대통령'으로 불린 김 전 차관을 소개받았고 김 전 차관은 장씨가 각종 특혜를 누리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확인했다.
장씨는 또 거짓으로 적힌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세 차례에 걸쳐 7억여원의 국가보조금을 가로챈 혐의와 삼성그룹 등으로부터 받은 영재센터의 법인자금 3억여원을 누림기획과 자신이 설립한 더스포츠엠의 사무실 임차료, 운영비 등으로 사용한 혐의도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29일 열린 첫 공판준비기일에서 장씨 측은 삼성을 통해 영재센터에 16억여원의 후원금을 내게 한 혐의를 시인했다. 다만, "강요에 의해 (삼성이) 후원금을 냈는지는 의문"이라며 핵심 혐의는 부인했다.
특검팀은 장씨가 혐의 일부를 시인함에 따라 소환조사를 통해 관련 사실을 추가조사하며 삼성 특혜 의혹 수사를 집중 규명할 전망이다.
'차은택 은사'인 김종덕 전 장관은 최씨의 문화체육계 인사개입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하달된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실제 집행하는 역할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예술계 인사의 명단을 만들어 관리했다는 이른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는 지난 2014년 만들어져 문화계 검열과 지원배제 등에 활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블랙리스트에는 총 1만여명에 육박하는 문화예술인의 명단이 올라있고, '김영한 비망록'을 통해 점차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이 "블랙리스트를 봤다"고 폭로하면서 점차 신빙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검팀은 지난 24일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조윤선 문체부 장관, 김상률 전 교육문화수석, 정관주 전 문체부 차관 등과 함께 김종덕 전 장관의 거주지 압수수색에 나서며 소환조사를 예고한 바 있다. 김 전 장관은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한다.
특검팀은 '블랙리스트'를 포함해 각종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종 전 차관을 지난 24일부터 사흘 연속 강도높은 조사를 벌인 바 있다. 네 번째로 특검사무실로 소환되는 김 전 차관은 재임시절 '왕차관', '문화계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삼성 합병 특혜와 정유라씨(20) 특혜지원 등 혐의에 깊숙이 연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