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안전방송)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일자리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하며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던 일자리 창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이 취임 직후 1호 업무지시로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강조했을 만큼 일자리 정책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는 새 정부의 지상 과제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일자리는 경제성장과 경제민주주의의 토대고, 청년 고용절벽의 해결책이고, 가장 핵심적인 저출산 대책이고, 최고의 복지정책이고,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늘 1차 회의를 기점으로 새 정부 일자리 정책의 청사진을 만들고 정책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시작하겠다"며 "일자리 문제는 산업정책, 노동정책, 재정금융정책이 어우러져야 하고 민간과 공공부문, 산업계, 노동계,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 새 정부 일자리 정책 기조에 맞춰서 공공부문은 물론이고 민간분야 역시 신규채용 확대 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아주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사례들이 많은 것은 매우 고맙고 고무적인 일"이라며 "이 부분은 일자리위원회에서 모아서 발표를 하거나 홍보하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일자리를 통한 국민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는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좋은 일자리에 두고 기존 정부정책을 거기에 맞춰나갈 필요가 있다"며 "일자리 정책 추진을 위해 재정, 세제, 금융, 조달, 인허가 등 기존의 가용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최대한 동원하는 한편 고용영향평가, 정부 및 공공기관 평가 등 일하는 방식까지도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자리 정책은 노사정이 신뢰를 토대로 대화와 타협, 또 협력과 연대를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는 그런 과제다. 열린 마음으로 대화하고 서로가 조금씩 양보하고 협력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며 향후 노사정위원회가 노사정 대타협에 대한 역할을 하게 되겠지만 이에 발맞춰 일자리위원회 또한 큰 틀에서 노사정이 공존 및 상생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의 처리가 시급하다고도 말했다. 그는 "일자리 추경은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과 양극화 속에서 고단한 국민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개선하고 싶은 마음으로, 그런 절박한 심정으로 시급하게 추진한 것"이라며 "하반기부터 바로 우리 고용시장에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국회의 신속한 처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날인 지난달 10일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1호 업무지시'로 내리는 등 일자리 행보를 지속해왔다. 특히 일자리위원회는 자신이 직접 위원장을 맡는 만큼 좀 더 신경을 곤두세우고 진행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이날 노동계뿐만 아니라 기업측도 두루 챙기면서 '통합의 면모'를 보이려 했다.
문 대통령은 "양대 노총 대표들께서는 오늘 일정이 급하게 잡히는 바람에 내부에서 충분한 논의 절차를 가지기 힘들었을 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석하는 결단을 내려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우리 경영계도 오늘 처음 만납니다만 저는 친노동이기도 하지만 친경영, 친기업이기도 하다. 우리 경영계도 정말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데 역할해주신다면 제가 언제든지 업어드리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노동계를 향해 "경영계와 마찬가지로 국정의 주요 파트너로 인정하고 대접할 것"이라며 "노동과 직접 관련 있는 정부위원회는 물론이고 노동과 직접 관련이 없어도 간접적 관련이 있거나 또는 각계의 다양한 의견이 필요한 정부위원회의 경우에 양대 노총 대표를 위원으로 모시도록 할 것이다. 적극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한 가지 더 당부 말씀을 드리자면 노동계는 지난 두 정부에서 워낙 억눌려왔기 때문에 아마도 새 정부에 요구하고 싶은 내용들이 아주 엄청나게 많을 것"이라며 "그러나 시간이 필요하다. 적어도 1년 정도는 좀 시간을 주면서 지켜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