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안전방송) 양자·다자외교 데뷔무대를 마치고 귀국한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본격적인 정국 구상에 돌입했다.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 일부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등 야당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이번주 진행될 여야 대표와의 순방 성과 회동이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국무회의 주재는 지난 달 27일에 이어 두번째다.
이번 국무회의는 새 정부가 임명한 국무위원이 전 정부가 임명한 국무위원 숫자를 넘어선 첫 회의이기도 하다.
국무위원은 현 정부조직법에 따르면 17개 행정 각부 장관과 국민안전처 장관을 포함해 총 18명이다. 이 중 현 정부가 임명한 위원은 11명, 전 정부가 임명한 위원은 6명이다. 법무부 장관은 공석이다.
새 정부에서 임명된 위원은 김동연 기획재정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국무회의 부의장이다.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이날 국회에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가 채택돼, 이날 중 임명장 수여식이 진행될 경우 11일 국무회의에 첫 참석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위원은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이다.
새 정부에서 지명한 송영무 국방부·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야당이 임명강행 시 '협치는 없다'고 반대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박상기 법무부·백운규 산업부·박능후 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 과정을 밟고 있다.
국민안전처 장관의 경우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처리되면 행자부로 흡수될 예정이라 후보자 지명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