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의 뿔처럼 홀로 가라/숫타니파타♥
<‘22.9.30>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물에 오염되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물속의 고기가 그물을 찢는 것처럼,
불이 타버린 곳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처럼,
모든 속박들을 끊어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탐내지 말고 속이지 말며,
갈망하지 말고 남의 덕을 가리지도 말며,
혼탁과 미혹을 버리고 세상의 온갖 애착에서 벗으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무소는 물소가 아니라, 코뿔소를 말합니다.
코뿔소는 뿔이 하나 입니다. 둘이 아니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숫타니파타에 나오는 멋진 게송이며,
<마음의 걸림 없는 대 자유>를 표현한 것 입니다.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마음의 대 자유, 심무 가애[心無罫碍]의 경지입니다.
마음이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다면, 그 어떤 고통도 없을 겁니다.
그 어떤 그물에도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은 대 자유, 완전한 해방...
그럼 마음이 걸리는 것은 언제일까요?
내 마음을 살펴보면 탁탁 걸리는 것들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 것들은 모두 다 내 마음이 "실체가 있다"고 여기는 것들입니다.
뭔가 있다고 여기면 바로 즉시 거기에 걸려 듭니다.
사실상, 우리 중생들은 그 모든 것에 다 실체가 있다고 여기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여기저기에 걸려들고 있지요.
"실체가 있다"라고 여기는 것이 바로 모든 번뇌의 뿌리인 무지/무명입니다.
뭔가 있다고 여김으로 인해, 거기에 애착 하거나, 그 반대로 그걸 싫어하는데,
바로 이 세 가지가 탐,진,치 삼 독 번뇌입니다.
탐,진,치 삼독번뇌는 모두 걸려든 상태입니다.
시원한 해방이 아닌 탁 막혀 있는 것....
낚시 바늘에 물고기가 걸려들듯이,
번뇌에 중생들이 탁 걸려들어 괴로움에 발버둥 치고 있습니다.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물에 더렵혀 지지 않는 연꽃처럼....
마음에 그 무엇도 걸리지 않는 대 자유,
심무가애[心無罫碍]!!!
심무가애[心無罫碍]가 바로 "해탈"입니다.
해탈은 공[空]을 통해 얻어지며,
공[空]의 깨달음은 연기법의 이해를 통해 얻어집니다.
내 마음 속을 들여다 보면,
걸릴게 아무것도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나/자아/영혼이라는 것은 없이,
그저 마음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무명에 의해 작동되면 마음이 걸리고,
지혜에 의해 작동되면 마음이 걸리지 않습니다.
우리의 마음은 본래 형상/
모습이 없으니 그 어디에도 걸릴 수가 없지요.
다만 마음이 이걸 몰라서 걸릴 뿐입니다.
그래서 자주 자주 마음을 들여다 봐야 하지요.
외부의 것들도 모조리 다 변해가니, 역시 본래 걸릴게 없습니다.
항상 변해가다가 결국 사라져 버리니.....본래 없었을 뿐입니다.
空......心無罫碍....
마음의 걸림없는 대자유, 심무가애[心無罫碍]의 경지!!!
“너는 그동안 홀로 서야 한다는 것을 배웠지만,
아직도 의존하려 하는구나(You have learned to be independent, yet you feel dependent).
다른 이에게 의존하려는 환상이 너를 계속 노예 상태에 남아 있게 하는 것이란다.
너에게 도움과 희망과 용기를 주는 사람들에게 의존하려 할 때,
너는 의존과 분리 속에서 길을 잃어버리게 된단다.
그들이 아무리 고귀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말이야.”
스스로 해야 합니다. 자신이 해야 할 것은 스스로 해야 하지요.
그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말고..
홀로 해야 합니다.
그래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야 하는 것 입니다.
또한 이 세상에서 진정한 사람은 찾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자신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야 하지요.
나쁜 벗/동료, 사람들은 길을 잃게 만듭니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야 합니다.
중국 마오쩌둥(모택동)의 좌우명으로 알려진
‘처변불경 처변불경(處變不驚 處變不輕)’이 있다.
♥무소의 뿔처럼 홀로 가라/숫타니파타♥이다.
“고난 당한 것이 내게 유익 이라.
이로 인하여 내가 주의 율례를 배우게 되었나이다.” -시편 119:71-
..
주)숫타니파타는?
동영상: 인문학 세미나, 지혜의 향연
[지혜의 향연] 숫타니파타 :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김종욱 교수)
인문학 강의 함 보세요..
불교에서 가장 오래된 원시 경전(불경)이다.
숫타(Sutta)는 ’경전:말의 묶음(經)', 니파타(Nipata)는 '모음(集)' 을 말하므로,
숫타니파타는 팔리어로 '경전들의 모음'을 뜻한다. 상좌부의 수많은
경전들 중에서도, 숫타니파타는 당당히 '경전들의 모음'이라고 이름이 붙어져 있다.
숫타니파타는 1장 사품(蛇品), 2장 소품(小品), 3장 대품(大品),
4장 의품(義品), 5장 피안도품(彼岸道品)의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 의 뜻」 음력 1월 1일 정월 초하루를 '설날' 이라고 합니다. '설' 은 "사린다, 사간다." 란 옛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삼가다, 조심하다." 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쇠다." 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여 나쁜 기운을 쫓아낸다."는 말입니다. 즉, 설날은 일년 내내 탈없이 잘 지낼 수 있도록 행동을 조심하라는 깊은 뜻을 새기는 명절입니다. '설' 을 언제부터 쇠기 시작하였는 지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서 잘 알 수가 없지만, 중국의 사서에 있는 "신라 때 정월 초하루에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일월신(日月神)에게 배례했다."는 내용으로 보아 상당히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구한말인 1895년에 양력이 채택되면서 그 빛이 바래기 시작했고, 1985년 "민속의 날" 로 지정, 이후 설날 명칭을 되찾아 사흘간의 공휴일로 결정되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아직도 구정(舊正)이라고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구정이란 이름 그대로 옛 '설' 이란 뜻입니다. 구정은 일제가 한민족의 혼과 얼을 말살시키기 위해 신정(新正)이란 말을 만들며 생겨났습니다. 모두 일본식 한자어이며 설날이 바른 표현입니다. 조선 총독부는 1936년 "조선
2025 토리노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 우리나라는 금메달 8개, 은메달 6개,동메달 6개 를 획득하여 종합 순위 2위를 기록했다. 뜨거운 투지를 불태우며 대한민국의 이름을 전세계에 알린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큰 박수 를 보낸다. [자료 대한체육회]
️설날은 왜 떡국을 먹을까? 설 음식을 통틀어 세찬(歲饌)이라 하며 설을 대표하는 음식은 떡국입니다. 뽀얀 국물에 가래떡을 얇게 썰어 넣고, 고명을 얹은 떡국은 지금에는 한 살 더 먹는 슬픈 의미가 됐지만, 떡국처럼 ‘하얗고 뽀얗게 새로 태어나라’는 깊은 뜻이 있으며, 새로운 한 해를 맞은 마음가짐과 장수의 기원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의 떡을 사용한 것이며,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태양의 둥근 것을 상형한 것이라고 볼 수 있고 영양적으로 떡국은 봄이 다가오는 겨울에 먹기에 최적의 음식이며 지금에야 사계절이 무관하게 먹을 것이 넘쳐나지만 그렇지 못했던 과거에는 겨우내 부족한 식량, 추위를 견뎌내느라 떨어진 체력을 보충하기에 떡국만한 것이 없었을 것입니다. 또, 가래떡에 응집돼 있는 탄수화물은 좋은 에너지원이었고, 육수에 들어간 고기는 필수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풍부해 원기회복을 돕고, 계란, 김 등 고명은 단백질을 채웠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은 지역마다 지리적 특성이 반영된 떡국을 즐겨먹었는데 바다를 낀 경상도는 굴 떡국, 남해안은 미역생떡국, 전라도는 두부 떡국, 닭장 떡국, 충청도는 다슬기 국물
■ 배짱도 지략도 없는 윤석열정부 ■ 사진 : 조우석 평론가 곤혹스럽다. 대통령이 퇴임 이후를 준비한다는 소식 때문이다. 사저 경호 시설 신축비 139억 원을 내년 예산안에 올려놓은 것이다. 대통령 퇴임 이후 그런 걸 반복하는 한국 정치의 고약한 전통부터 납득할 수 없지만 윤 대통령이 원하는 순조로운 퇴임이 가능할까도 의문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이 저렇게 날뛰는 마당에 아직 반환점도 돌지 않은 남은 임기를 채우는 것부터 버겁다. 윤 대통령 탄핵 움직임은 지금 정권 탈취 음모극으로 치닫는 중이다. 이재명이 앞장서 밑도 끝도 없는 계엄령 괴담을 퍼뜨리는 배경부터 그렇다. 10월 선고 재판을 앞두고 “날 유죄로 몰면 혁명적 상황을 피할 수 없다”고 법원과 세상을 향해 우회적으로 협박하는 것이다. 7년 전 문재인이 “박근혜 탄핵이 기각되면 혁명밖에 없다”고 겁박하던 것과 완전 닮은꼴이다. 법원이 허튼짓을 하면 내전 상황 내지 내전에 준하는 상황을 만들어서라도 무효화시키겠다는, 사법부에 대한 공격이다. 그 못지않게 중요한 건 대통령이 가진 무기인 계엄령 선포권을 빼앗는 또 다른 효과다. 그렇게 되면 지금 최악의 입법 독재 상황에서 대통령을 무력화할 수 있게 된다.
□ 서울시 교육감 보권선거를 앞두고 권한과 후보자들에 대한 분석... 오늘날 전세계적인 물결의 'K-Culture'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위상의 바탕에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그중 으뜸이 교육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그이면의 국가사회 갈등의 분열과 병패로 무너진 국민들의 도덕성을 이야기 할 때도 우리는 교육의 문제라고도 한다. 그만큼 우리는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있는 것이다. 그 교육의 중심에는 서울을 비롯한 전국 시 도의 교육행정의 수장으로 교육감이 있다. 그중한곳 서울의 교육감보궐선거가 10월16일(수)에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교육에 관한 깊은 성찰이있어야하고 그 리더는 어떤 인물이어야 할까 심사숙고해 소중한 내 한표에 국가사회의 미래가 달려있음을 명심하고 반드시 투표를 해야 한다. 교육은 국가 백년대계요 대한민국 국가 사회의 미래다. 그러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학생들에게는 지식의 습득은 물론 올바른 인성의 바탕에 국가관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 교사들의 추락된 교권을 회복하고, 학부모에게 자녀 교육에 관한 근심걱정을 덜어주는 역활을 해야할 것이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에 진입했음에도 공교육의 실상은 선진국에 걸맞지 않는게 현실이다
빌게이츠의 목마른 자에게 물을 줘라!(일화) 빌 게이츠가 부유하지 않던 시절 뉴욕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신문 가판대에서 신문을 사고 싶어 신문을 집었는데 현금이 없었다. 그는 신문을 상인에게 돌려주며 '지금 제게 현금이 없습니다.'라고 했다. 그 상인은 '그냥 가져가세요.' 라고 말했다. 빌게이츠는 감사하며 신문을 가져갔다. 우연하게도 3개월 후에 같은 공항에서 신문을 살 잔돈이 없어 똑같은 상황이 벌어졌다. 미안해 하며 신문을 도로 놓자 상인은 또 신문을 공짜로 주었다. 그는 미안해서 가져갈 수 없다고 했다. 그 상인은 '신문은 뉴스를 읽을 필요가 있는 이에게 소중한 겁니다. 그냥 가져가세요.' 하며 신문을 건네 주었다. 그 후 19년이 지났고, 빌게이츠는 유명한 갑부가 됐다. 갑자기 신문을 팔던 상인이 생각나 수소문 끝에 간신히 그 신문 장수를 찾았다. 그에게 물었다. '저를 아십니까?' '네, 알아요. 당신은 빌 게이츠가 아니세요?' 그에게 다시 물었다. '혹시 기억하세요? 저에게 신문을 공짜로 주셨던 사실을!' '네, 기억합니다.' '당신은 내게 신문을 두 번 공짜로 주었습니다. 그때 주신 도움을 돌려드리고 싶습니다. 그러자 그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