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전환 시대, 우리 기업의 혁신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한 포럼이 열린다.
오는 11일 전주라한호텔 기와마루홀에서 대·중견·중소기업, VC, AC 등 투자 기관 및 유관기관 등 100명 내외가 참여해 기업지속가능경여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산업 대전환 시대, 우리 기업의 혁신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한 포럼이 열린다.
오는 11일 전주라한호텔 기와마루홀에서 대·중견·중소기업, VC, AC 등 투자 기관 및 유관기관 등 100명 내외가 참여해 기업지속가능경여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솔로몬의 일생을 보면서] 돈,권세,여자를 다 가진 남자 솔로몬의 최후를 통해본 인생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 솔로몬은 권력과 돈, 예쁜 여자1000명을 다 가진 남자였다. 이스라엘을 40년간 다스리며 절대 권력을 누렸고, 금이 너무 많아 은을 귀히 여기지 않을 만큼 부유했다. 그는 역사상 가장 많은 아내를 가진 남자였다. 한 아기를 두고 다툰 두 어머니에 대한 명재판에서 알 수 있듯 ,역사상 가장 지혜로운 인물 중 하나로 꼽히지만 그렇다고 책 속에 파묻혀 공부만 한 것이 아니라 화려하고 방탕하게 잘 놀았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인생 말년에 약간의 반란이 있긴 했지만 왕권을 위협받을 정도는 아니였고 그냥 왕으로 잘 죽은 솔로몬이 ,왜 나이 들어서 "인생은 헛되다"는 결론을 내렸을까. 역사상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 남긴 조언은 결국 인생 허무주의인 것일까. 솔로몬이 인생에서 좋다는 것을 다 누려본 뒤 전도서에 남긴 메시지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것이다. 솔로몬이 헛되다고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모든 사람이 언젠가는 죽기 때문이다. 지혜로운 사람도, 어리석은 사람도,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청각 상실 시대♥ 솔로몬이 아버지 다윗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 왕위에 올랐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해 주기를 바라느냐? ” 솔로몬의 꿈에 나타난 하느님이 물었다. “듣는 마음을 주시어 선악을 분별할 수 있게 해 주십시오.” “자신을 위해 장수나 부귀를 청하지 않고 옳은 것을 가려내는 분별력을 청했으니 네 말대로 해 주겠다.” 듣는 능력을 받은 솔로몬은 ‘지혜의 대명사’로 역사에 기록됐다. 갓난아이를 두고 다투는 두 여인에게 “아이를 반으로 잘라 나눠 가져라”고 해 친모를 밝혀낸 명판결이 유명하다.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이 후계자로 전격 낙점한 이건희 부회장 첫 출근 때 ‘경청’(傾聽)이란 휘호를 선물로 주었다. 타인의 말을 귀 기울여 듣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 극단의 청각상 실 시대다. 상대방의 말을 듣는 청각기능 자체가 아예 선별적으로 퇴화된 듯하다.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갈등이 우리 사회를 불신의 깊은 늪으로 끌어들인다. ‘괴담’과 ‘과학’이 얽히고설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렵다. 상대진영 이야기를 들을 생각이 없다. 일본에 대한 역사적 앙금이 사안을 더욱 꼬이게 만들고 있다.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을 둘러싼 논쟁도 소
♥가짜뉴스♥ ‘폴리티팩트’(Politifact)는 퓰리처상을 여러 차례 받을 정도로 영향력이 큰 미국 인터넷 매체다. 각종 뉴스와 정보 등을 분석해 진실과 거짓을 분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분석했다. 약 70%가 거짓말이었다. ‘워싱턴 포스트’도 트럼프 재임 1000일간 발언을 분석한 결과 하루 13번 거짓말했다고 보도했었다. 오바마보다 거짓말 지수가 15배 높았다. 자신을 공격하는 뉴스는 ‘가짜’라 몰아 세웠고 지지자들은 그가 하는 말은 무조건 ‘진실’로 믿었다. 선거결과에 불복해 의사당 점거 사태까지 불렀다. 지난 대선 때 일부 언론에 ‘대장동 몸통은 윤석열’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 주임 검사였던 윤 후보가 당시 대장동 대출 브로커 조 모 씨를 만난 뒤 수사를 덮었다는 내용이었다. 민주당은 이를 바탕으로 이재명 후보에게 쏠린 ‘대장동 혐의’를 윤 후보 쪽으로 돌리려 했다. 민주당은 확대 재생산했고 이재명 후보는 대선후보 TV 토론에서 끈질기게 물고 늘어졌다. 하지만 김만배 씨가 기획하고 조작한 가짜뉴스로 드러났다. 김 씨는 조 씨에게 “나중에 사실이 아니었다 하면 된다” 며
<박기동 대표이사/주필> ♥이재명표 단식♥ 조선시대에는 단식을 절곡(絶穀)이라 했다. 말 그대로 곡기(음식)를 끊는다는 뜻이다. 부모가 병환으로 음식을 먹지 못하면 자식이 함께 절곡했다. 선비들이 임금에게 상소할 때 절곡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하기도 했다. 1455년 단종이 폐위되자 동지중추원사(종2품)를 지낸 김수연(金壽延)은 절곡으로 항의했다. 여진족 정벌에 큰 공을 세웠던 그는 음식을 일체 거부했다. 결국 6일 만에 숨을 거두었고 부인도 절곡으로 그의 뒤를 따랐다. 군사독재 때는 단식이 강력한 저항수단이었다. DJ(김대중)와 YS(김영삼)의 단식은 우리 현대사의 흐름을 바꿔 놓았다. 가택연금 중이던 YS는 1983년 ‘민주화 5개항’을 요구하며 단식에 들어갔다. 통제된 언론은 ‘모 재야인사의 식사 문제’란 난수표 보도를 했다. 전두환 정권은 그를 강제로 입원시킨 뒤 병실에서 고기를 굽는 해괴한 일을 벌였다. 23일간의 단식을 통해 그는 정치적 입지를 굳혔다. DJ도 1990년 13일간의 단식을 통해 지방자치제를 관철시키고 세를 결집했다. 2016년 이재명 성남시장이 박근혜 정부의 지방재정개혁안 철회를 요구하며 1
♡大 丈 夫(대장부),이 시대 대장부는 있는가 ?♡ 나는 천하의 가장 넓은 곳에 거하리라! 나는 천하의 가장 바른 자리에 서리라! 나는 천하의 가장 큰 길을 걸어가리라! 내 뜻을 세상이 알아주면 백성들과 함께 그 뜻을 함께 실현할 것이요, 세상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면 나 홀로 나의 길을 걸으며 살리라! 부귀영화도 나를 속되게 할 수 없고, 가난과 역경 속에서도 내 뜻을 바꾸지 않을 것이며, 어떤 위협과 협박에도 굴복하지 아니 하리니, 이렇게 사는 사람의 인생을 대장부라 하느니라. 居天下之廣居(거천하지광거)하고 立天下之正位(입천하지정위)하고 行天下之大道(행천하지대조)하고 得志與民由之(득지유민유지)하고 不得志獨行其道(부득지도행기도)하리라! 富貴不能淫(부귀불능음)하고 貧賤不能移(빈천불능이)하고 威武不能屈(위무불능굴)이니 此之謂大丈夫(차지위대장부)니라! ♥ 나는 대장부로 살아가고 있는가? 공자님의 논어에는 군자에 대하여 “나는 군자인가 소인배인가?” 라고 했습니다만, 공자님(BC551~479) 보다 107년 후에 태어난 맹자는(BC372~289) 공자에 대하여 대장부라 정리 하였다. "세상의 부귀영화도 가난도 역경도 어떤 위협과 협박에도 굴복하지 않고 오직 큰
♥죄와 벌♥ ‘죄인들을 총살형에 처한다. ’ 늘어선 십자가에 죄수들이 나란히 매달렸다. 멀리 교회 금빛 종탑이 햇빛을 받아 빛나고 있었다. ‘거총!’ 소총수들의 총구가 사형수들을 향했다. 28살 도스토예프스키도 불온서적을 읽은 혐의로 십자가에 매달렸다.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의 지식인 탄압은 집요했다. ‘사격 중지!’ 사격 직전 달려온 황제의 사자가 사격 중지를 외쳤다. 유배로 감형됐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유배에서 풀리자 작품을 쏟아냈다. ‘죄와 벌’ ‘백치’ ‘악령’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등 인류의 찬란한 문화유산들이 탄생한다. 정부는 사문화된 사형제도 보완을 위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형을 입법예고했다. 20년 이상 복역하면 가석방이 가능한 현 무기징역제도와 차별화된다. 지난 2019년 11월 한강몸통시신 사건 범인 장대호에게 1심 재판부가 ‘감형 없는 무기징역형’을 첫 선고했다. 하지만 법과 판사재량 밖이었다. 2심은 단순 무기징역형을 선고했다. 사형제도 합헌성을 두고 헌재가 세 번째 심리 중이다. 법무부는 ‘사형제가 헌법에 부합한다’는 의견을 냈다. 하지만 인권단체들은 형 집행 후 결백이 밝혀져도 피해 회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