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분당구에 설치된 노란 횡단보도(사진 연합뉴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를 아예 없애고, 그 외 도로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보행사고도 5년에 걸쳐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다. 경찰은 대부분의 어린이 교통사고가 보호구역 밖에서 발생하는 것을 파악, 현재 보호구역 내에 집중된 교통안전 대책을 보호구역 밖 통학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우선 도로교통공단 등과 함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린이 보행사고 다발 지역에 대해 유관기관 합동 점검을 추진한다. 초등학교에서 학교 밖 거점 돌봄센터까지의 보행 동선도 함께 점검한다. 또 QR코드를 활용해 학생과 학부모 등 통학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취약 지점을 발굴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보행 안전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곳에는 바닥 신호등, 보행 잔여 시간 표시장치, 보행 시간 자동 연장 시스템 등 첨단 보조장치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청 협조를 통해 학교 부지를 활용해 보도가 없는 구간의 보행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빅데이터 활용과 이용자 의견 수렴을 통해 통학로에 안전 사각지대가 사라질 수 있도록 개선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며 "어린이 교
‘이륜차 소음관리 종합계획’ 수립 그래픽(자료 경기도) 경기도가 배달용 이륜자동차 소음으로 불편을 겪는 도민을 위해 음향영상카메라를 도입해 실시간으로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이 없는 전기 이륜자동차를 보급하는 등 12개 과제를 추진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이륜자동차 소음관리계획(2025~2029)’을 전국 최초로 수립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전국 최초로 제정된 ‘경기도 이륜자동차 소음 관리 조례’ 제5조에 근거해 마련됐다. 계획안을 살펴보면 도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224억 원을 투자해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을 통한 도민 행복 실현’을 비전으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이륜자동차 소음관리체계 선진화, 소음 피해 사전 예방, 소음 사후관리 강화, 소음정책 역량 강화 등 4개 분야, 12개 중점과제를 설정했다. 우선 소음관리체계 선진화를 위해 음향·영상카메라를 설치해 올해부터 매년 5곳씩 5년간 총 25곳에 시범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기존에는 오토바이 소음에 대해 수동으로 단속하는 방식이라서 단속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도로 위 속도위반 카메라처럼 음향·영상카메라가 있으면 오토바이 소음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단속
대형 싱크홀 발생한 강동구 대명초 인근 사거리(사진 연합뉴스) 24일 오후 6시 29분께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당국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름 20m·깊이 20m가량의 대형 싱크홀로, 왕복 6차선 도로 가운데 4차선이 함몰 범위에 포함됐다. 교통 통제와 함께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싱크홀에 떨어진 것으로 확인돼 구조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 함몰 직전 이곳을 통과한 자동차 운전자 1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상수도 배관 파열로 싱크홀 내부가 침수되고 범위도 커지고 있어 구조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오후 6시 32분께 강동구청, 서울시 동부도로사업소에 상황이 공유된 직후 현장으로 출동해 상황을 파악 중이다. 싱크홀 발생 뒤 고압선 폭발이 일어나자 당국은 추가 사고를 우려해 일대를 단전했다. 상수도에서 물이 새어 나와 싱크홀로 흘러드는 것을 막기 위해 단수 조처도 이뤄졌다. 인근 학교인 한영외고는 학생들의 안전을 우려해 25일 학교장 재량 휴업을 결정했다. 사고 지점 인근에서는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이에 따라 시는 싱크홀의 원인 중 하나로 지하철 공사를 배제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