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20년말 시화MTV 거북섬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 서핑파크가 문을 연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임병택 시흥시장, 이학수 K-water 사장, 최삼섭 ㈜대원플러스건설 회장은 22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시흥 인공서핑파크 투자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조정식 국회의원과 경기도의회 김종배․안광률․이동현․장대석 도의원, 시흥시의회 김태경의장 등이 함께했다.
시흥 인공서핑파크는 시화MTV에 조성된 거북섬(인공섬)을 포함해 약 32만5,300㎡ 규모의 부지에 조성된다. 경기도와 시흥시, K-water는 지난해 10월 이 일대를 해양레저복합단지로 조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투자유치 양해각서 체결은 지난해 공공기관 간 업무협약 추진 후 1년 만에 이루어 낸 성과로 사업 시행 민간사업자로 ㈜대원플러스건설을 선정해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하게 됐다.
이날 투자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대원플러스건설은 12월 중 K-water와 사업 부지에 대한 토지분양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중순 공사를 시작하여 2020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인 인공서핑파크(16만㎡)를 우선 개장하는 것을 목표로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대원플러스건설은 약 5,630억 원을 투자해 오는 2023년까지 인공서핑파크를 비롯해 호텔, 컨벤션, 마리나, 대관람차 등을 함께 조성할 예정이다.
도는 최근 서핑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이 높아진데다 서핑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2020년 도쿄 올림픽 이후에는 국내 서퍼는 물론 일본, 중국을 포함 연 2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4계절 찾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거북섬 일원이 서해안권을 대표하는 해양레포츠단지가 된다는게 도의 설명이다.
또한 도는 인공서핑파크와 호텔 건립 등으로 관광과 스포츠 분야 청년 일자리를 포함해 1,400여개가 넘는 직접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이재명 도지사는 이날 “경기도는 시흥 인공 서핑파크가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는 서해안권의 중요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서핑파크가 완공되면 거북섬 일원을 관광특구로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화MTV에 조성되는 세계적 규모의 인공서핑파크가 서해안권 해양레저의 중심축으로 발전하리라 본다”며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관광사업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함께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학수 K-water 사장은 “세계 최대의 인공 서핑파크가 K-water가 조성하는 시화 MTV에 도입돼 매우 기쁘게 생각 한다”면서 “앞으로도 수변 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국민 물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원플러스건설 최삼섭 회장은 “세계 최고 기술의 송도 해상케이블카 등 혁신적 테마사업 개발과 운영 경험을 토대로 그룹의 모든 역량을 다해 시화MTV 서핑파크가 경기도와 수도권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정식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인공서핑파크 시흥 유치는 경기도와 시흥시, 수자원공사의 팀워크로 만들어 낸 큰 결실”이라며 “거북섬 일원을 포함해 시흥시가 해양레저문화 클러스터가 될 수 있도록 다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특히, 이날 MOU 체결식에는 인공 서핑파크 개발의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스페인 웨이브가든社의 페르난도 오드리오졸라(Fernando Odriozola)대표이사를 비롯하여, 스페인 대사관 안토니오 에스테베스 마린(Antonio Estevez Marin) 상무참사관,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 로제 로요(Roger Royo)사무총장 등이 함께 참석해 양국이 협력하여 기술과 투자를 통해 세계적인 서핑파크를 만들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11월22일 오늘은 소설, 겨울기분 들기 시작, 살얼음 잡히면서 제법 춥지만 그래도 낮엔 아직 따뜻하기도 해 소춘이라고 부르기도 함, 한때 강풍이 시작하면서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기도 하는데 이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하며 외출 삼가고 배를 바다에 띄우지않음11월22일 오늘은 시제(時祭 음력10월보름날 지내는 차례로 지방이나 문중에 따라 날짜는 약간씩 달라지기도 함) 조상신은 5대까지만 사당에서 제사지내고 그 이전 조상님들을 한꺼번에 모시고 지내는 제사, 5대가 지났어도 부조묘나 불천위는 신주를 그대로 올림 11월22일=1337(고려 충숙왕7)년 오늘 포은 정몽주 태어남1897(대한제국 건양2)년 오늘 명성황후 국장 치름1953년 오늘 제1회 전국프로권투대회 1963년 오늘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 59년만에 일본서 돌아옴1966년 오늘 독립운동가 강제 신숙 세상떠남. 경복궁에 종합박물관 신축기공1972년 오늘 남북적십자사 제4차 본회담 열림(서울)1974년 오늘 제럴드 포드 미대통령 방한1975년 오늘 중앙정보부 학원침투 재일동포간첩단 검거 발표. 40여일 잔인한 고문으로 재일동포유학생20여명 간첩으로 조작 1981년 오늘 부산 금정산서 버스가 비
[공교육 확립은 책임교육ᆢ 제59차](58회에서 이어집니다.)즉,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을 교육부 고시로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수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등에 따라 기준에 따라 교육을 합니다. 그리고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3조(교과)에 ①법 제23조제3항에 따른 학교의 교과는 초등학교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 체육, 음악, 미술 및 외국어(영어)와 교육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교과를 운영합니다. 그리고 교육의 자주성 및 전문성과 지방교육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과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도 지켜야 하는 등 너무 많은 법령이 존재합니다. 즉, 헌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지방교육자치법, 교육부고시 등 부령, 조례, 규칙에 따라 정해진 교육활동을 하고 교육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모든 학교에서는 위에서 정해진 법령에 따라 1년의 교육설계도라는 학교 교육과정을 작성하여 학년 교육과정과 학급 교육과정을 작성하여 운영합니다. 교육과정에는 학생들에게 교육할 전반적인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중심이 되는 내용이
11월21일=1394(조선 태조3)년 오늘 조선 도읍을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김1904년 오늘 두번째 여기자 추계 최은선 태어남 『씨 뿌리는 여인』 『여성전진 70년』1928년 오늘 홍명희 조선일보에 『임꺽정』 연재 시작, 중간에 신간회사건으로 투옥됐으나 일제가 집필 허용해 옥중에서 연재 계속1968년 오늘 시․도민증을 주민등록증으로 대체1972년 오늘 유신헌법안 국민투표(투표율91.9% 찬성91.5%). 제3,6대 국회의원 김두한 세상떠남1978년 오늘 중국에서 고구려 벽화고분 발굴 1982년 오늘 충북 청원군 경부고속도로서 관광버스전복 사상37명1987년 오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창립1997년 오늘 한나라당 창당. IMF구제금융 공식요청(밤10시), 11.16 미셀 캉드시 IMF총재 극비방한 강경식 부총리와 IMF구제금융 합의 11.19 임창열 신임부총리 임명 11.23 IMF실무단1진 도착 11.25 IMF협의단 국내금융기관 부실상태 집중조사 11.27 임 부총리와 휴버스 나이트 IMF실무단장 비공개협의 12.3 협상타결2007년 오늘 북청사자놀음 보유자 여재성(88세) 세상떠남 2012년 오늘 사상처음으로 1,000만명째 외국인관광객 입국2013년 오
11월20일 오늘은 세계어린이날 1959년 오늘 세계아동인권선언 1989년 오늘 유엔어린이헌장 채택. 오늘은 아프리카 산업화의 날. 오늘은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11월20일=1865(조선 고종2)년 오늘 친일파 윤치호 태어남, 독립협회 주도, 서재필 이어 독립신문사장, 장지연과 함께 대한자강회 만들고 회장, 1911년 105인사건으로 체포 10년형 선고, 일제말기에 변절해 귀족원 의원 지냈고 광복후 친일파로 몰리자 자살1896(고종33)년 오늘 독립협회 독립관 준공 1897(고종34)년 오늘 독립문 준공1905년 오늘 장지연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이 날을 어찌 통곡하지 않으랴)’ 씀 “저 개 돼지만도 못한 정부대신이라는 자는 자기의 영달과 이익을 바라고 위협에 겁을 먹어 머뭇거리고 벌벌 떨면서 나라를 팔아먹은 도적이 되어 4천년을 이어온 강토와 5백년 사직을 남에게 바치고 2천만 생명을 모두 남의 노예 노릇을 하게 하였다....동포여! 아 원통하고 분하도다. 2천만 동포여! 살았느냐, 죽었느냐, 단군 기자 이래 4천년의 국민정신이 하룻밤 사이에 끝나고 말 것인가. 원통하고 원통하도다. 동포여! 동포여!”1958년 오늘 농협중앙회 발족1975년 오늘 대
믿기지 않는 탈원전·태양광 정책의 '주먹구구' 민낯(한국경제, 2018.11.18) 평지풍파(平地風波)라는 말이 있듯이, 정부가 밀어붙이는 탈(脫)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초래하는 부작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전국 곳곳이 난개발로 인한 환경·경관 훼손으로 몸살이고, 태양광 소송은 사흘에 한 건꼴이다.조급한 태양광·풍력 드라이브로 늘어난 투자가 외국기업들의 배만 불리고, 정작 국내 업계는 궤멸 위기로 몰아넣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정말 “이 정도로 어설픈 아마추어 정부인가” 하는 의구심마저 제기되고 있다. 그 원인은 정부가 에너지·환경분야 핵심공약으로 내건 에너지 믹스와 ‘재생에너지 3020’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 20%(2016년 7%)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실현해낼 정교한 정책설계 없이 의욕만 앞세운 주먹구구에 가깝기 때문이다. 2030년까지 92조원을 투입한다는데,정작 태양광 설비(모듈) 국산화율은 2014년 82.9%에서 올해 66.6%로 떨어지고 저가 중국산 수입만 대폭 늘었다.풍력도 덴마크·독일산 터빈 의존도가 높아져 국산화율이 30%로 주저앉았다. 국내 업계에선 폐업·감원 칼바람이 분다. 정부가 이처럼 허술하게
[공교육 확립은 책임교육 ᆢ제58차]안녕하십니까? 공교육 확립은 책임교육이 이루어져야 확립됩니다. 학부모님들께서 학교를 보내고 학교에서 교육활동을 하는 이유에 대하여 얘기를 해 보겠습니다. 이런 이해가 있어야 학교에서 하는 활동에 부정적이지 않고 긍정적인 마인드가 형성될 것으로 봅니다. 즉, 학부모님들의 적극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학급에서 하는 활동이 효과를 얻고 공감을 얻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가 교육을 하는 합법적 당위성을 법적으로 얘기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은 헌법을 바탕으로 모든 일이 시작된다고 봅니다. 헌법 제31조에 ①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적어도 초등교육과 법률이 정하는 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진다. ③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 ④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 ⑤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한다. ⑥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라고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든 교육활동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교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