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와 석유발전소등 626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8년도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33만46톤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보다 3만1413톤(9%)이 감소한 수치다.
TMS로 측정된 대기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염화수소 등 7종이다. 미세먼지 주요 원인물질로 알려진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최근 4년간 꾸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물질 총배출량 33만46톤 중 질소산화물은 22만2183톤(67%), 황산화물은 9만8110톤(30%), 먼지는 6438톤(2%), 일산화탄소는 2752톤(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소산화물의 경우, 2018년 배출량은 2015년 대비 5만2340톤(19%)이 줄었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저감대책에 따라 노후 화력발전소의 가동중지 및 대기오염물질 방지 시설의 개선 효과 영향이라고 설명하였으며, 업종별 배출량은 발전업이 14만5467톤(44%), 시멘트제조업이 6만7104톤(20%), 제철제강업이 6만3384톤(19%), 석유화학제품업이 3만5299톤(11%), 기타 업종이 1만8791톤(6%)으로 조사됐다.
배출량이 가장 많은 발전소는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중단 등 미세먼지 저감 활동으로 2018년 배출량이
2015년의 3분의 2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시,도별로는 충남도가 7만5825톤(23%), 강원도가 5만2810톤(16%), 전남도가 4만8370톤(15%), 경남도가 3만6078톤(11%), 충북도가 2만5572톤(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는 1만1000톤 줄었으며 경남도 1만톤, 충북도 6000톤 순으로 감소폭이 증가하였다.
앞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발표,대책을 강구 할 계획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