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치

취임 후 노란 넥타이는 처음…盧 추모의 뜻 담겨



(한국안전방송)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10·4 남북정상선언 10주년을 맞아 노무현 전 대통령의 10·4 선언이 박정희 전 대통령을 포함, 역대 대통령들의 성과를 계승했다고 강조했다. 여야를 넘어 국민이 단합해 안보위기를 넘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노란 넥타이 차림으로 기념식에 참석, 노 전 대통령을 추억하는 모습도 보였다.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노란색 넥타이를 착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란 넥타이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노 전 대통령의 노제 때 노란 모자와 노란 풍선을 들고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했다.


문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을 향한 추모의 마음을 담아 이날 노란 넥타이를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날 축사에도 노 전 대통령을 향한 문 대통령의 그리움이 묻어났다.


문 대통령은 축사 말미에 "고뇌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던 노무현 대통령님이 그립습니다. 이 땅의 평화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신 분입니다. 언제나 당당했고, 누구보다 따뜻한 마음을 가진 분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을 언급한 것은 단순히 고인을 향한 그리움의 표현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북핵 문제에 대한 문 대통령의 외교적·평화적 해결원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제기되는 지금, 노 전 대통령이 북핵 문제를 대하면서 보여준 '인내'를 다시금 되새기고 그 뜻을 이어받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2011년 발간한 자서전 '운명'에서 "사실 5년 내내 대통령과 우리를 힘들게 만든 것이 북핵 문제였다"며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외교적으로 관리해 낸 노 대통령의 철학과 인내력과 정치력은 대단히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기술했다.


이어 "보수진영과 보수언론들이 마치 미국과 다른 견해를 갖게 되면 큰일 날 듯 걱정을 쏟아내며 공격했지만 끄떡도 하지 않았다"며 "대통령의 뜻이 워낙 강하니, 결국 부시 행정부도 대북 강경일변도 정책을 포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결국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결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회고했다.


문 대통령의 자서전에서 노 전 대통령의 대북 철학과 10·4 정상회담의 뒷이야기를 다룬 챕터의 제목이 '노란 선을 넘어서'다. 노란 선은 '군사분계선'을 의미한다.


여기서 문 대통령이 착용한 노란 넥타이에 담긴 두 번째 의미가 '군사분계선'을 의미함을 유추할 수 있다. 아무런 표시도 없던 군사분계선에 노란 선을 긋고 노 전 대통령에게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도록 한 사람이 바로 문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당시를 회고하면서 "대통령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은 효과는 대단했다. 군사분계선을 노란 페인트 선으로 그어놓으니 더 극적으로 보였다. 결국, 그 장면이 전 세계적으로 10·4 정상회담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됐다"고 적었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군사분계선 앞에서 "저는 이번에 대통령으로서 이 금단의 선을 넘어갑니다. 제가 다녀오면 또 더 많은 사람들이 다녀오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마침내 이 금단의 선도 점차 지워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6년 전 문 대통령은 군사분계선을 넘는 노 전 대통령의 소감을 자서전에 그대로 실었는데, 이번 10·4 정상회담 10주년 기념 축사에도 이 대목을 그대로 차용했다. 문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 일행의 모습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쪽으로 사라진 후 자신도 노란 선 위에 서서 기념사진을 찍고 돌아왔다고 한다.


이날 기념식에는 권양숙 여사를 비롯해 참여정부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한때 문 대통령의 최측근 그룹인 '3철' 중 한 명으로 꼽혔으나, 새 정부 출범 이후 출국한 것으로 알려진 이호철 전 민정수석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배너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