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주간 박 기 동> ♥동북아에서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최근에 헨리 키신저는 “5~10년 내에 미·중 충돌로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 핵심은 양안(중국·대만)을 둘러싼 갈등이다. 키신저뿐만 아니다. 오늘날 많은 전문가들은 양안전쟁을 피하기 어려운 일로 여기는 분위기다. 왜 양안전쟁은 점점 현실화하고 있을까. 과연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런 사태를 날카롭게 해부하며 우리의 대처 방안을 짚어본 국내 전문가의 도발적인 전략론이 있다. 바로 이철의 ‘이미 시작된 전쟁’(2023)이다. 이제 양안전쟁은 피하기 어렵다. 실질적으로 이미 시작된 것이나 다름없다. 미·중의 직접적 충돌은 명약관화하다. 우리나라도 틀림없이 휘말린다. 심지어 남북 간 군사 충돌 가능성도 적지 않다. 어차피 우리가 전쟁을 피할 수 없다면, 선제적 북침 통일도 고려해 볼 만하다는 것이 저자의 파격적인 제안이다. 지난해 10월 중국 공산당은 시진핑 3연임과 일인 지도체제 강화를 단행했다. 중국이 지금까지 달려온 것처럼 앞으로도 고속 성장을 계속 이어가기는 어렵다. 즉 더 큰 성장 과실로 인민들에게 만족을 줄 수 없다.
<논설주간 박 기 동> ♥陣中吟 진중음/ 李舜臣 이순신 ♥ 天步西門遠 천보서문원 君儲北地危 군저북지위 孤臣憂國日 고신우국일 壯士樹勳時 장사수훈시 誓海魚龍動 서해어룡동 盟山草木知 맹산초목지 讐夷如盡滅 수이여진멸 雖死不爲辭 수사불위사 .. 진중에서 읊다/ 이 순 신 왕의 행차는 서문 밖 멀어져 가고 왕자는 북쪽 땅에 머물러 위태롭구나 외로운 신하 나라 걱정 하는 날 사내가 수훈을 세울 때가 되었구나 바다에 서약하니 물고기와 용이 감동하고 산에 맹세하니 초목도 아는구나 원수 오랑캐와 같으니 모조리 멸하리라 비록 죽는다하더라도 사양하지 않으리라 .. 1592년 음력 4월 13일(양력 5월23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이 좋은 계절 바로 어제 날자이다. 불과 20일 만에 한양이 함락되었고 중국으로 도망가려든 선조는 신하들의 만류로 의주로 피난길에 올랐다. 남해 바다에서 이 소식을 들은 이순신 장군은 왜구들을 무리칠 것을 맹세하여 이 시를 지었다. .. 이 시대 우리나라에는 이순신같은 구국의 영웅이 과연 몇이나 있을까?
<논설주간 박 기 동> ♥감동의 서울대학교 생활수기 당선작♥ 실밥이 뜯어진 운동화, 지퍼가 고장 난 검은가방, 그리고 색 바랜 옷 내가 가진 것 중 헤지고 낡아도 창피하지 않은 것은 오직 책과 영어 사전뿐이다. 집안 형편이 너무 어려워 학원수강료를 내지 못했던 나는 칠판을 지우고 물걸레질을 하는 등의 허드렛일을 하며 강의를 들었다. 수업이 끝나면 지우개를 들고 이 교실 저 교실 바쁘게 옮겨 다녀야 했고, 수업이 시작되면 머리에 하얗게 분필 가루를 뒤집어 쓴 채 맨 앞자리에 앉아 열심히 공부했다. 엄마를 닮아 숫기가 없는 나는 오른쪽 다리를 심하게 절고 있는 소아마비이다. 하지만 난 결코 움츠리지 않았다. 오히려 내 가슴속에선 앞날에 대한 희망이 고등어 등짝처럼 싱싱하게 살아 움직였다. 짧은 오른쪽 다리 때문에 뒤뚱뒤뚱 걸어 다니며, 가을에 입던 홑 잠바를 한겨울에까지 입어야 하는 가난 속에서도 나는 이를 악물고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 그러던 추운 어느 겨울날, 책 살 돈이 필요했던 나는 엄마가 생선을 팔고 있는 시장에 찾아갔다. 그런데 몇 걸음 뒤에서 엄마의 모습을 바라보다가 차마 더 이상 엄마에게 다가가지 못
<박 기 동 논 설 주 간> ♥ 상선약수(上善若水)의 교훈♥ 물은 생명이다. 물 없이 우리는 생존할 수 없다. 우리가세상을 살아가는 데 물은 꼭 필요한 것이다.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액체일 뿐만 아니라 지구의 생물들이 존재하고 번성하는 거름이기도 하다. 인간의몸은 약 70%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사람은 매일 2.5 L의 물을 여러 형태로 섭취하며, 사람의 수명이 70년이라고 할 때 평생 마시는 물의 양은 약 60톤에 이른다고 한다. 물이부족하면 몸에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물은 노폐물을 배출할 때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의 생과 사를 결정하는 운명의 칼이 되고 있다. 물은 상상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제를 만들고 제거하는데 슈퍼 에너지이자 순환하는 생명 물질이다. 인류가 더 행복한 세상에서 생을 유지하려면 물과 친해져야 할 것이다. 사실 물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과 중요한 의미를 꼭 생각해야 한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물은 낮은 자리를 지향한다. 물은 겸손하다. 물은 주변 경관이 좋다고 해서 멈추지 않는다. 물은 방해물이 없으면 계속 흐른다. 흐르는 물은 앞서가려고 다투지 않는
<논설주간 박 기 동> ♥일본보다 중국이 더 큰 원수 국가다♥ -503 대 36!- 결론부터 말하면 두말할 것도 없이 503 : 36으로 중국이 더 큰 원수다. 일본은 부스러기라도 남겼지 중국은 다 가져만 갔다 !! 일본에 위안부 약 14만명이 있다면, 고려와 조선 수백년 동안 수만명의 처녀들이 공녀(貢女)로 받쳐졌고, 병자호란 때만 청나라 군대에 잡혀간 젊은 여성이 50 만명이 넘었다. “중국은 사실상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서부터 1895년 하관(시모노세끼) 조약 때까지 500년간 조선을 속국으로 지배한 것“이 사실이다. 1407년 태종은 중국을 숭모한다는 모화루(모화관)을 세워서 중국 사신을 영접하였고, 이후 중국의 요구로 1539년 중종 때는 중국의 은혜를 영접한다는 영은문으로 이름까지 바꿔 세운 것이다.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한반도는 중국의 일부였다"고 말해 우리를 분노케 했는데 사실 중국인들은 500년 이상 한반도가 중국의 일부라 생각해 오고 있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이런 수모 또한 조선 왕들의 무능과 사대주의 사상에서 발단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으로 스스로 모두가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1388년 위화
<논설주간 박 기 동> ♬푸른 오월/노천명 ♬ 청자(靑瓷) 빛 하늘이, 육모정 탑 위에 그린 듯이 곱고 연못 창포잎에 여인네 맵시 위에 감미로운 첫 여름이 흐른다. 라일락 숲에 내 젊은 꿈이 나비처럼 앉는 정오 계절의 여왕 오월의 푸른 여신 앞에 내가 웬 일로 무색하고 외롭구나. 밀물처럼 가슴속으로 몰려드는 향수를 어찌하는 수 없어, 눈은 먼 데 하늘을 본다. 긴 담을 끼고 외딴길을 걸으며 걸으며, 생각이 무지개처럼 핀다. 풀 냄새가 물큰 향수보다 좋게 내 코를 스치고 머루순이 벋어 나오던 길섶 어디 메선가 한나절 꿩이 울고 나는 활나물, 호납나물, 젓가락나물, 참나물을 찾던 잃어버린 날이 그립지 아니한가, 나의 사람아. 아름다운 노래라도 부르자 서러운 노래를 부르자 보리밭 푸른 물결을 헤치며 종달새 모양 내 마음은 하늘 높이 솟는다. 오월의 창공이여! 나의 태양이여!
<논설주간 박 기 동> ♥암행어사 출두요! / 춘향전 중에서♥ 금단지의 맛있는 술은 천 사람의 피요 옥쟁반의 맛있는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라 촛농이 떨어지는 곳에 백성의 눈물 떨어지고 노랫소리 높은 곳에 백성의 원망 소리 높다. 金樽美酒 千人血 (금준미주 천인혈) 玉盤佳肴 萬姓膏 (옥반가효 만성고) 燭淚落時民淚落 (촉루락시 민누락) 歌聲高處 怨聲高 (가성고처 원성고) <조선시대 암행어사 마패> 요염한 기생의 노래가 절정을 향하고 호남 12 읍 수령이 얼큰히 취해 갈 즈음, 한 걸인이 불쑥 연회장에 뛰어들었다. 그는 대범하게 술 한 잔까지 청했다. “네 이 놈, 이 자리가 어떤 자리인 줄 알고? 네 놈이 시를 지을 줄 알면 함께 어울려도 좋을 것이요, 그렇지 못하면 당장 돌아갈지어다” 불호령이 떨어지자 걸인이 붓과 종이를 청해 한 수 읊는다. 樽中美酒 千人血 (준중미주 천인혈 : 동이 안의 맛있는 술은 천 사람의 피요) 盤上佳肴 萬姓膏 (반상가효 만성고 : 소반 위의 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며) 燭淚落時 民淚落 (촉루락시 민루락 : 촛물 떨어질 때에 백성의 눈물 떨어지고) 歌聲高處
<논설주간 박 기 동> ♥김수환(金壽煥) 추기경 9가지 명언♥ 1. 말 말을 많이 하면 필요 없는 말이 나온다. 양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세번 생각하고 열라. 2. 책 수입의 1%를 책을 사는 데 투자하라. 옷이 헤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리지만 책은 시간이 지나도 위대한 진가를 품고 있다. 3. 노점상 노점상에서 물건을 살 때 깍지 말라. 그냥 돈을 주면 나태함을 키우지만 부르는 대로 주고 사면 희망과 건강을 선물하는 것이다. 4. 웃음 웃는 연습을 생활화 하라. 웃음은 만병의 예방약이며, 치료약이며 노인을 젊게 하고, 젋은이를 동자로 만든다. 5. TV 바보상자 텔레비전과 많은 시간 동거하지 말라. 술에 취하면 정신을 잃고, 마약에 취하면 이성을 잃지만 텔레비전에 취하면 모든 게 마비된 바보가 된다. 6. 성냄 화내는 사람이 언제나 손해를 본다. 화내는 사람은 자기를 죽이고 남을 죽이며 아무도 가깝게 오지 않아서 늘 외롭고 쓸쓸하다. 7. 기도 기도는 녹슨 쇳덩이도 녹이며 천년 암흑 동굴의 어둠을 없애는 한 줄기 빛이다. 주먹을 불끈 쥐기보다 두 손을 모으고 기도하는 자가 더 강하다. 기도는 자성을 찾게
<논설주간> ♥무재칠시(無財七施)♥ 재물없이 베푸는 7가지보시 어떤 사람이 석가모니 부처님을 찾아가 하소연을 하였다.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일이 없으니 무슨 연유 입니까?”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 이니라” “저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빈 털털이 입니다. 남에게 베풀것이 없습니다” “그렇지 않느니라 아무런 재산이 없더라도 남에게 줄수 있는 7가지는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잡보장경(雜寶藏經) 이라는 불경에 나오는 “무재칠시” 이다. 즉 가진 것이 없는(無財) 사람일 지라도 남에게 베풀 일곱 가지 보시(七施)는 아래와 같다. 이름하여 ‘무재칠시(無財七施)’다. ‘광에서 인심 난다’ 는 말이 있다. 하지만 베풀고 나누는 것은 있고 없음의 문제가 아니다. 돈이 없어도 베풀 수 있고 나눌 수 있다는 부처님 말씀을 우리 모두가 실천하여, 힘든 이웃도 함게 따뜻하게 느껴지는 5월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화안시(和顔施) 또는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 남에게 화사한 얼굴을 베푸는 보시입니다. 얼굴에 화색을 띄고 부드럽고 정다운 얼굴로 남을 대하라는 것이다. 평화로운 얼굴 따뜻하고 친근한 표정
<논설주간 박 기 동> 낙상은 노년의 삶의 질과 양을 모두 위협하는 무서운 사고다. “그냥 넘어지셨을 뿐인데…” 낙상(落傷), 떨어지거나 넘어져 다치는 것을 말한다. 흔히 ‘사고’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젊은이라면 작은 타박상으로 끝날 일도 고령자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는다. 예컨대 고령자에게 가장 치명적이라는 고관절 골절은 수술을 하더라도 2년 이내 사망률이 30%, 방치할 경우 2년 이내 사망률이 70%에 이른다는 통계마저 있다. 흔히 ‘노인은 넘어지면 끝장’이란 말이 나오는 이유다. 고관절 골절, 수술해도 2년 내 사망률 30% 고령자는 하체 근력이나 평형 유지 기능이 약하고 뼈와 관절이 약해져 있으니 작은 충격에도 부러지고 금이 간다. ‘의자에 앉아 있다가’ 혹은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등 일상생활 중 50㎝ 정도 높이에서 엉덩방아를 찧었을 뿐인데도 고관절 골절이 일어나기도 한다. 노년기 골절은 또 다른 문제를 낳는다. 오랜 시간 누워서 보내거나 활동량이 줄면 여러 합병증으로 이어진다. 근육 손실에도 가속도가 붙는다. 가뜩이나 80대면 60대의 절반 정도로 줄어든 근육이 한달 정도 누워서만 지낸다면 다시 그 절반까지 감소할
<논설위원 박 기 동> ♥서러운 이팝꽃♥ 아이는 어미젖을 빤다. 빨아도 빨아도 빈 젖. 어미가 먹은 게 없으니 젖이 나올 리 없다. 보채던 울음이 희미해진다. 젖먹이 얼굴에 한 방울 떨어지는 어미 눈물. 지친 아이는 더 이상 울지 못한다. 끝내 고개가 슬며시 뒤로 꺾인다. 눈도 감지 못한다. 감을 힘도 없다. 보릿고개 넘는 해는 그래도 길다. 아비는 긴 한숨으로 지게를 진다. 무명적삼에 돌돌 말린 아이. 가볍다. 진 듯 만 듯. 빈 젖만 빨다 저세상 간 아이. 꺼이꺼이 눈물을 앞세워 사립을 나선다. 그림자가 불쌍하다며 앞산까지 따라온다. 차마 뒤따르지 못한 어미는 댓돌에 맥없이 쓰러진다. 아직 냉기가 올라오는 땅을 판다. 깊이깊이 판다. 작은 몸 뉘일 곳 얕아도 그만이지만 덥지 말고 춥지 말라고 깊이깊이 판다. 옥황상제 만나러 아장아장 가는 길 조금이라도 짧아지라고 파고 또 판다. 제물은 눈물 몇 방울. 굶어 죽은 며느리 혼, 소쩍새가 목청껏 대신 울어 준다. 아비는 자그마한 무덤가에 나무 하나 심는다. 이팝나무. 이 봄에 꽃 피거든 눈으로 나마 이팝(쌀밥)
<논설위원 박 기 동> 2021년 말 완공 예정이었던 ‘은계호수공원‘이 연기되어 그동안 시흥시민과 주변 상가의 많은 원성을 들어 온 끝에 드디어 금년 봄 오픈했다. 이 '은계호수공원'은 시흥시 은행동 601번지 일원 17만444㎡ 규모로 엣 '소래 저수지'를 종합 개발하였으며 시흥 은계지구 13,192호 개발과 서해선 대야역, 신천역등과 연계 조성 되었다. 호수공원에는 수변 옥외 공연장(매주 토, 오후 2시 버스킹), 쉼터, 호수 중앙 통과 다리와 호수 한 바퀴 일주 산책로, 호수 중앙에 설치된 색깔이 변하며 춤추는 분수대, 인접한 오난산의 산책길과 잘 조성된 수목과 계절별 개화하는 수 만송이 화려한 꽃밭과 특히 호숫가에 연결된 먹자빌딩이 즐비하여 “먹고 놀고 운동하고 문화생활하는데 최적으로 조성되어 있어 찾는 사람들의 인기가 아주 높다"고 한다 실지로 시흥시 북부권 “최고의 명품 휴식 공간, 문화행사 공간, 운동 공간”으로 소문나면서 시흥시민은 물론 인근 부천시, 광명시, 인천시 등 외지 시민들까지 찾아 오면서 “평일은 물론 밤낮없이 주말과 공휴일까지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이는 임병택 시흥시장이 명품 호수공원을 위해 심혈을
<박 기 동 논설위원> 경기도 31개 시, 군에서 법원이 설치된 자치단체가 무려 24곳에 이르고 있으나, 인구순위 경기도 내 시, 군 10위로 55.4 만명이 넘는 시민이 살고있는 대도시 시흥시에는 지방법원 지원도 심지어 시·법원도 없는 엄청난 차별과 홀대를 받고 있다. 경기도 관내는 수원과 의정부에 지방법원 2개소가 있으며 그 산하에 성남지원, 여주지원, 평택지원, 안산지원, 안양지원, 고양지원, 남양주 지원, 부천 지원 등 8개소의 지방법원 지원이 있다. 또한 지원이 없는 지역의 지원 산하 조직인 시·군 법원이 광주시 법원을 비롯한 14개소 등 24개 시, 군에 법원이 있어 법원이 소재한 시, 군에 거주하는 시, 군민은 자기 지역에 소재한 인근 법원의 사법 서비스를 원할히 받고 있다. 경기도내 24개 법원이 설치된 시, 군의 인구수를 분석해 보면 55.4만명 대도시인 시흥시민의 분노가 참을 수가 없는 지경까지 다다른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 먼저 의정부 지방법원이 소재한 의정부시도(45.5만) 시흥시보다 인구가 적으며, 지방법원 지원이 소재한 여주시 지원(11.3만), 안양시 지원(54.7만)도 오래전부터 지원이 설치 운영 중이나 인구수는 시흥시
<박기동 대표이사> 평양 시민 여러분, 북녘의 동포, 형제 여러분. 평양에서 여러분을 이렇게 만나게 되어 참으로 반갑습니다. 남쪽 대통령으로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소개로 여러분에게 인사말을 하게 되니 그 감격을 말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이렇게 함께 새로운 시대를 만들고 있습니다. 동포 여러분,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지난 4월 27일 판문점에서 만나 뜨겁게 포옹했습니다. "우리 두 정상은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8,000만 우리 겨레와 전 세계에 엄숙히 천명"했습니다. 또한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자주의 원칙을 확인했습니다. 남북 관계를 전면적이고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끊어진 민족의 혈맥을 잇고 공동번영과 자주통일의 미래를 앞당기자고 굳게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가을 문재인 대통령은 이렇게 평양을 방문하기로 했습니다. 평양 시민 여러분, 사랑하는 동포 여러분. "오늘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공포와 무력충돌의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조치들을 구체적으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백두에서 한라까지 아름다운 우리
<박 기동 대표이사> ◇대한민국, 7 번째 3050 클럽! 대한민국은 이미 세계 7위 대국입니다. 3050클럽에(인구 5천만명이상이고 국민소득3만불 이상인 국가) 가입한 나라가 세계에서 일곱 나라뿐인데,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에 이어 2018년에 우리나라가 일곱 번째 나라로 가입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새로운 개념"의 G7 국가가 된 것은 우리 국민의 근면과 성실, 그리고 잘 살고 싶은 욕구에 자유시장주의와 민주주의의 성공적 결합이 뒷받침 되어 실현된 것입니다. 불과 반 백 년 만에 새로운 개렴의 G7, 즉 3050클럽 국가가 된 것입니다. ◇이미 세계 5위! 이제 2위를 향해! 지금 우리의 목표는 5위를 너머 세계 2위 강국입니다. 구매력 지수(ppp)로 보면 5위입니다. 이미 일본, 이탈리아를 넘어섰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목표는 2위를 향합니다. 5년 안에는 힘들더라도 10년 안에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대한민국 세계 G2! 경제·문화·디지털 강국으로 확고부동한 2위가 되는 것입니다. 위 표와에서 보듯이 2015년부터 우리나라 연평균 임금이 일본을 앞섰고 2022년 우리나라
"아름다움을 남기는 인생의 지혜" 사람이 머물다 떠난 자리는 어떤 흔적이든 흔적이 남기 마련입니다. 결혼식이 끝난 후에는 꽃잎과 꽃가루가 남습니다. 군인들이 야영하다 떠난 자리에는 텐트 친 자리와 트럭의 흔적이 있고 야영객이 놀다 떠난 산 계곡에는 쓰레기와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습니다. 사람이 이 땅에 머물다 떠나면 크게 두 가지로 흔적이 남게 됩니다. 구한말의 매국노 이완용은 지금까지 비참하고 더러운 이름으로 남아 있지만, 조국을 위해 제 한 몸 초개같이 불살랐던 안중근 의사는 울면서 달라붙은 아들에게, 아들아 너는 나만의 아들이 아니다. 나는 너만의 아비가 아니다 라는 말을 남기고 상해로 떠났던 윤봉길 의사는 찬란하고 자랑스러운 이름으로 남아 있습니다. 사람은 자손을 흔적으로 남깁니다. 시인은 시로 말하고, 음악가는 오선지로 말하며, 화가는 그림으로 말합니다. 이런 것들 모두가 흔적입니다. 아브라함이 머물다 떠난 자리에는 천막친 자리와 제단 쌓은 자리가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도 언젠가는 떠날 텐데 어떤 흔적을 남겨야 합니까?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은 평소 한 가지 소원이 있었습니다. 마지막 날 그를 땅에 묻고 돌아가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말을 듣고 싶
<<인생살이의 삶은 소풍(逍風)이다>> -.갈 때 쉬고! -.올 때 쉬고! -.또 중간에 틈나는 대로 쉬고~! 장자 사상의 중요한 특징(特徵)은 人生을 바쁘게 살지 말라는 것이다. 하늘이 내려준 하루하루의 삶의 그 자체로서 중(重)히 여기고 감사(感謝)하며 고마운 마음으로 살아야지, 하루하루를 마치 무슨 목적(目的)을 완수하기 위한 수단(手段)인 것처럼 기계적 소모적(消耗的)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장자(莊子)는 우리에게 人生에 있어서 '일'을 권하는 것이 아니라, 소풍(逍風)을 권한 사람이다. 우리는 '일' 하러 世上에 온 것도 아니고, 成功하려고 世上에 온 것도 아니다. 그런 것은 다 부차적(副次的)이고 수단적 (手段的)인 것이다. 우리 모두는 과거 생(生)에 무엇을 잘 했는지 모르지만, 하늘로 부터 '삶'을 선물로 받은 것이다. 이 우주에는 아직 삶을 선물 받지 못한 억조 창생(億兆蒼生)의 '대기조'들이 우주의 커다란 다락방에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최소한 우리는 이 삶을 하늘로부터 선물(膳物) 받아 이렇게 지구에 와 있지 않은가! 삶을 '수단(手段)'시 하지 마라. '삶' 자체가 '목적'임을 알라. 이 '삶'이라는
<논설주간 박 기 동> ♥동북아에서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최근에 헨리 키신저는 “5~10년 내에 미·중 충돌로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 핵심은 양안(중국·대만)을 둘러싼 갈등이다. 키신저뿐만 아니다. 오늘날 많은 전문가들은 양안전쟁을 피하기 어려운 일로 여기는 분위기다. 왜 양안전쟁은 점점 현실화하고 있을까. 과연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런 사태를 날카롭게 해부하며 우리의 대처 방안을 짚어본 국내 전문가의 도발적인 전략론이 있다. 바로 이철의 ‘이미 시작된 전쟁’(2023)이다. 이제 양안전쟁은 피하기 어렵다. 실질적으로 이미 시작된 것이나 다름없다. 미·중의 직접적 충돌은 명약관화하다. 우리나라도 틀림없이 휘말린다. 심지어 남북 간 군사 충돌 가능성도 적지 않다. 어차피 우리가 전쟁을 피할 수 없다면, 선제적 북침 통일도 고려해 볼 만하다는 것이 저자의 파격적인 제안이다. 지난해 10월 중국 공산당은 시진핑 3연임과 일인 지도체제 강화를 단행했다. 중국이 지금까지 달려온 것처럼 앞으로도 고속 성장을 계속 이어가기는 어렵다. 즉 더 큰 성장 과실로 인민들에게 만족을 줄 수 없다.
안산 광덕 초등학교를 막 지나 건물 모등이에 “나와 세상을 기운차게” 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점심 나눔 봉사를 하는 기운차림 봉사단이 운영하는 천원식당이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웃들에게 도움을 주는 소중한 봉사활동은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았고 이에 우리는 나눔이란 봉사에 대한 홍보가 더 필요할 것 같아 글을 쓰기로 마음 먹었다. 김용호 화백님과 본 기자가 천원식당에 문을 열고 들어서니 “어서오세요 반갑습니다”하는 친절한 목소리의 주인공들. 바로 천원식당의 자원봉사자들이다 지난 어버이날에는 천원식사 대신 어르신들 위해 무료로 떡과 음식을 대접했다. 이날 월피동, 중앙동, 성포동 등 150여명의 어르신이 어버이날을 맞아 천원식당의 융성한 대접을 받고 기뻤했다고 자원봉사 하신분이 귀뜸을 해 준다. “우리가 돌봐드리는 동네 어르신들이 많이 오셔서 너무 행복해하셨습니다”라고 말하는 김명서 사무국장님과 봉사하시는 선생님들을 칭찬하며 어르신들은 천사라고들 부른다. 이런 나눔과 봉사는 서로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바탕으로 함께사는 따뜻한 세상을 향한 열망과 소신이 있기에 하루하루 소중한 열매를 만들어가고 있는 듯 하다. 매주 월~금요일 점심을 1,000원으로 1
부처님 오신날의 가피로 부디 영혼과 육체가 정상화 되기를~ "코인 투기와 돈 봉투 매표 부정 선거, 지방 토착 비리와 수많은 이권 개입 등 끝없는 각종 비리"들이 국민의 마음 을 아프게 하고도, 검찰 기소가 되고 법원 판결이 나도 검사와 판사를 비난하고 억울하다며, '나는 무죄다 라고 혹세무민(惑世誣民 )하는 일부 불쌍한 정치인'들을 보면서 "추락한 도덕성과 반 인륜적 행위에 측은지심"이 생겨 옛 성현들의 가르침을 되새겨 본다. https://cafe.naver.com/ok5262/134 https://cafe.naver.com/ok5262/135
<논설주간 박 기 동> ♥푸른오월/노천명♥ 청자빛 하늘이 육모정 탑 우에 그린 듯이 곱고 연못 창포잎에 여인네 맵시 우에 감미로운 첫여름이 흐른다 라일락숲에 내 젊은 꿈이 나비처럼 앉는 정오 계절의 여왕 오월의 푸른 여신 앞에 내가 웬일로 무색하구 외롭구나 밀물처럼 가슴속으로 몰려드는 향수를 어찌하는 수 없어 눈은 먼 데 하늘을 본다 기인 담을 끼고 외따른 길을 걸으며 걸으며 생각이 무지개처럼 핀다 풀냄새가 물큰 향수보다 좋게 내 코를 스치고 청머루순이 뻗어나오던 길섶 어디메선가 한나절 꿩이 울고 나는 활나물 혼잎나물 적갈나물 참나물을 찾던-- 잃어버린 날이 그립지 아니한가 나의 사람아 아름다운 노래라도 부르자 서러운 노래를 부르자 보리밭 푸른 물결을 헤치며 종달새 모양 내 마음은 하늘 높이 솟는다 오월의 창공이여